뇌전증 약물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치료
뇌전증 환자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뇌 자체의 병리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여 수술로 치료가 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뇌전증인 경우가 많습니다.
특발성 뇌전증의 경우 항경련제의 복용을 통해 신경의 흥분 상태를 억제하는 치료를 하게 되는데 약물 치료에도 발작 증상이 계속 나타나는 경우 약물 난치성 뇌전증으로 분류 됩니다.
약물로 신경의 흥분 상태가 통제되지 않는 환자의 경우 일상적으로는 거의 일반인과 차이가 없지만 발작 증상이 언제 나타날지 몰라 항상 위축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으며 대인관계도 위축될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약물로 치료가 되지 않는다면 신경을 안정화 시킬 수 있는 다른 대안을 찿아야 하며 밸런스메모리 치료가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뇌신경과 척추신경은 서로 상호작용을 하고 있으며 뇌신경과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안면, 턱관절, 경추 등의 구조적인 미세한 불균형과 비틀림이 신경에 위협과 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뇌신경의 과흥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즉, 두개골과 턱관절 및 경추의 틀어진 균형 조합을 찿아 회복시키면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상의 밀도 변화에 의해 신경 통로가 확보되면서 신경의 안정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밸런스메모리 치료는 물리적으로 억지스러운 힘을 가해 교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와 신경의 밸런스가 맞을 때 이완되는 근육의 반응에 따라 즉, 환자 본인 신경이 가장 편안해지는 균형 위치를 0.1mm 단위로 정밀하게 측정하여 미세 교정을 하는 것입니다.
수술이 불가능하고 약물로도 치료가 어렵다면 구조와 신경의 밸런스를 회복시킴으로써 신경을 안정화 시킬 수 있으며 약물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치료에 반드시 큰 도움이 됩니다.
'두경부 이상흥분 > 뇌전증(간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전증 두경부교정의 치료 원리 (0) | 2017.02.20 |
---|---|
뇌전증 두경부 불균형이 뇌신경에 미치는 영향 (0) | 2017.02.06 |
뇌전증 두경부교정으로 극복하세요 (0) | 2016.12.27 |
뇌전증과 턱관절 및 척추의 연관성 (0) | 2016.12.09 |
간질 증상 부담없이 교정치료 받으세요! (0) | 2016.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