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두경부 이상통증/삼차신경통

삼차신경통 약 먹어도 수술했어도 재발?

by Dr 난치질환주치의 2021. 4. 13.

삼차신경통 약 먹어도 수술했어도 재발?

 

 

얼굴에서 통증이나 찌릿찌릿하게 전기가 흐르는 것 같은 이상감각을 겪기 전까지는 삼차신경통이라는 단어도 들어보지 못하셨을 거예요.

삼차신경통은 삼차신경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신경계질환인데요,

삼차신경통 원인과 증상, 비약물적, 비수술적 치료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볼게요.

 

 

우선 삼차신경이 뭐냐하면,

삼차신경은 얼굴로 뻗어 나가는 신경으로 크게 이마, 광대, 아래턱 쪽으로 흐릅니다.

두개골이 감싸고 있는 뇌에서 빠져 나와 턱관절 연접부위를 지나서 안면에 크게 세가닥으로 뻗어 나가죠.

그래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이 아닌 이상 삼차신경이 자극받는 이유는 바로 두경부의 불균형!

 

 

두경부(두개골, 턱관절, 경추)는 신경이 밀집해 있는 부위인데, 삼차신경 역시 이곳을 지나 얼굴로 뻗어 나가죠.

이 과정에 두개골과 턱관절과의 구조적 균형이 틀어져 있으면 삼차신경은 자극, 압박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턱관절 연접부위에서 자극을 받기 쉽고 삼차신경이 자극을 받으면 이마, 광대, 코주변, 아래턱, 잇몸 등에서 통증, 얼얼함, 찌릿함, 불에 타는 것 같은 뜨거운 감각 등의 이상감각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턱관절장애 같은 두경부 불균형 환자분들이 삼차신경통 증상까지 호소하시는 경우도 많고, 삼차신경통 환자분들이 두통, 어지럼증, 이명 같은 원인 몰르 이상증상들을 동시 다발적으로 겪을 확률도 높습니다.

이럴 때 치료방법은 약이 아니라 일단 신경들이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구조의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

 

 

두개한의원에서는 환자분의 틀어지고 기울어진 두경부 구조의 균형이 가장 안정적일 수 있는 균형점을 0.1mm 단위로 찾아서 그 균형점을 기억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교정장치를 제작해드립니다.

그 교정장치를 통해서 해마쪽에 반복해서 두경부의 올바른 균형점을 인식시켜 두경부가 그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거죠.

 

 

그렇게 두경부 미세교정으로 두경부가 가장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하게 되면 구조의 안정으로 신경통로가 확보되어 삼차신경뿐 아니라 다른 신경들도 자극받지 않고 원활하게 흐를 수 잇는 환경이 됩니다.

그로인해 다른 신경계질환들도 약, 수술, 침, 주사 없이 소실될 수 있습니다.

신경계를 안정시켜야 신경계질환은 근본적으로 치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