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88 뇌전증 두경부 불균형이 뇌신경에 미치는 영향 뇌전증 두경부 불균형이 뇌신경에 미치는 영향 두경부라는 것은 두개골과 턱관절 및 상부경추(경추 1,2번)를 뜻하며 특히 두개골과 척추의 접합점인 상부경추는 뇌신경과 척추신경이 연결되는 지점이며 이 곳은 굉장히 많은 신경과 혈관이 지나가는 통로입니다. 두경부의 불균형은 두개골과 턱관절 상부경추의 무게중심축의 변화로 상부경추의 비틀림과 아탈구가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부경추의 아탈구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지면서 신경과 혈관에 서서히 압박과 스트레스를 가하게 되며 이것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거나 다른 유발원인(술이나 수면부족 스트레스) 등의 원인과 합쳐지면서 뇌신경의 과도한 긴장과 흥분을 유발하여 발작 증상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아직까지 상부경추의 아탈구로 인한 신경의 이상은 이학적인 검사상으로 .. 2017. 2. 6. 뇌전증 약물 난치성 뇌전증의 치료 뇌전증 약물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치료 뇌전증 환자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뇌 자체의 병리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여 수술로 치료가 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뇌전증인 경우가 많습니다. 특발성 뇌전증의 경우 항경련제의 복용을 통해 신경의 흥분 상태를 억제하는 치료를 하게 되는데 약물 치료에도 발작 증상이 계속 나타나는 경우 약물 난치성 뇌전증으로 분류 됩니다. 약물로 신경의 흥분 상태가 통제되지 않는 환자의 경우 일상적으로는 거의 일반인과 차이가 없지만 발작 증상이 언제 나타날지 몰라 항상 위축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으며 대인관계도 위축될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약물로 치료가 되지 않는다면 신경을 안정화 시킬 수 있는 다른 대안을 찿아야 하며 밸런스메모리 치료가 큰 도움이.. 2017. 1. 25. 뇌전증 두경부교정으로 극복하세요 뇌전증 두경부교정(밸런스메모리) 치료로 스스로의 치유력을 회복하세요 대부분 뇌전증 환자들이 약물 치료에만 의존하지만 약을 먹어도 경련이 통제가 되지 않는 약물난치성 뇌전증도 많습니다. 약물로 신경의 과흥분을 억제하는 것도 좋지만 가능하다면 신경이 과흥분을 일으키는 요인을 최대한 제거한다면 훨씬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뇌신경과 척추신경이 만성적으로 주기적으로 과흥분 상태가 유발된다는 것은 여러 가지 스트레스나 수면부족 음주 과로 등의 유발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 두개골과 척추의 구조적인 불균형이 신경에 지속적이고 만성적으로 자극과 스트레스를 가하면서 이것이 누적되어 과흥분으로 경련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경부교정이란 두개골과 턱관절 및 경추의 균형 조합을 맞춰줌으로써 신경에 가해지는 자.. 2016. 12. 27. 뇌전증과 턱관절 및 척추의 연관성 뇌전증 환자에서 발작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뇌신경의 과흥분이 원인이라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지만 왜 뇌신경이 비정상적인 흥분 상태에 이르게 되는지 에 대한 해답은 찿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체의 신경계는 대뇌에서 뇌간시스템을 거쳐 척추신경과 말초신경으로 이루 어져 있으며 이러한 신경계는 따로 끊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그물처럼 연결되 어 있으며 상호작용을 통해 유기적으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즉, 뇌신경의 과흥분이 반드시 뇌의 문제라고 보기 보다는 다른 부분의 문제가 뇌신경으로 파급되면서 뇌신경의 과흥분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음식을 먹다가 체하게 되면 복통이나 구토 명치 부위의 통증 등의 증 상이 나타나는데 이 증상이 좀 심할 경우 두통이나 몸살도 같이 나타날 수 있습 니다. 즉, 소화불.. 2016. 12. 9. 이전 1 2 3 4 5 ··· 22 다음